티스토리

KLOG
검색하기

블로그 홈

KLOG

06block26.tistory.com/m

block_626 님의 블로그입니다.

구독자
0
방명록 방문하기

주요 글 목록

  • Form과 input Form 사용자가 웹 사이트로 정보를 보낼 수 있는 요소들은 모두 form 폼과 관련된 대부분의 작업들은 정보를 저장, 검색, 수정 하는 일 이런 작업은 모두 DB 를 기반으로 함 아이디를 입력하는 text field, button 같은 form 의 형태를 만드는 것은 HTML tag, form 에 입력한 사용자 정보를 처리하는 것은 ASP, PHP 등의 서버 태그 - 폼 생성 form을 만드는 기본 태그 ~ 사이에 원하는 form 요소를 삽입하여 폼을 만들 수 있다. 태그에서는 다음과 같은 속성들을 사용한다. method: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들을 어떤 방식으로 서버쪽에 넘겨줄지 지정 get: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이 주소 표시줄에 그대로 나타남 256~4096 byte까지만 전송 가능 post: 사용자..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4. 25.
  • maven과 gradle Maven이란? 아파치 메이븐은 자바용 프로젝트 관리 도구이다. 아파치 Ant의 대안으로 만들어졌다. 아파치 아리센스로 배포되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이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사용하는 수많은 라이브러리들을 관리해주는 도구. 여기서 메이븐의 특징은 그 라이브러리들과 연관된 라이브러리들까지 거미줄처럼 모두 연동이 되서 관리가 된다는 것이다. 즉, 메이븐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관된 라이브러리까지 같이 업데이트를 해주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 POM(Project Object Model) Maven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POM이 사용된다. POM은 약자 이름 그대로 Project Object Model의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이다. pom.xml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기능 프로젝트 정보 : 프로젝트의 이름, ..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4. 24.
  • 마크업(MarkUp)언어 마크업(MarkUp)언어란? 마크업(Markup)이란 어떠한 표시를 뜻하며,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는 태그를 이용하여 문서나 데이터의 구조를 명시하는 언어를 지칭한다. 표시를 하여 문서를 구조화한다는 말이 와닿지 않을 수 있지만, 이는 우리 주변에서 꽤 흔히 쓰이는 방법이다. 한 가지 예시를 들어보자면 구름으로 택배를 보내려고 한다. 택배를 보내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아래 두 방식으로 정보를 기록하였는데 어떤 정보가 더 보기 편할까? 대부분의 사람들이 아래 방식처럼 각 정보가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표시한 것을 더 선호할 것이다. 좀 더 직관적이고 정보를 파악하기 편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주소, 수령인, 연락처 같은 표시가 바로 마크업에 해당한다. 마크업 언어는 문서나 데이터의 구조를..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4. 24.
  • DTO, DAO, VO DAO(Data Access Object) 실제로 DB에 접근하는 객체이다. Persistence Layer(DB에 data를 CRUD하는 계층)이다. Service와 DB를 연결하는 고리의 역할을 한다. SQL를 사용(개발자가 직접 코딩)하여 DB에 접근한 후 적절한 CRUD API를 제공한다. JPA 대부분의 기본적인 CRUD method를 제공하고 있다. extends JpaRepository DTO(Data Transfer Object) 순수하게 데이터를 담아 계층 간으로 전달하는 객체이다. 계층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객체(Java Beans)이다. DB에서 데이터를 얻어 Service나 Controller 등으로 보낼 때 사용하는 객체를 말한다. 즉, DB의 데이터가 Presentation Lo..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4. 24.
  • Get과 Post Get과 Post GET 방식 먼저 GET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영어 Get이라는 단어는 가져오다라는 뜻을 가진 단어인데, 이를 활용해서 이해하면 쉽다. 우리가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 가져오는(GET)상황과 유사하게 GET은 어떠한 정보를 가져와서 조회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방식이다. GET방식의 특징 URL에 변수(데이터)를 포함시켜 요청한다. 데이터를 Header(헤더)에 포함하여 전송한다. URL에 데이터가 노출되어 보안에 취약하다. 캐싱할 수 있다. POST 방식보다 상대적으로 전송 속도가 빠름 전송하는 데이터양에 한계가 있음 (브라우저마다 GET 요청 길이 제한 존재) 브라우저 히스토리에 기록이 남음 POST 방식 POST방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POST라는..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4. 24.
  • 파일 업로드 이해하기 파일업로드 이해하기 우선 파일업로드 관련 DB테이블을 하나 만들어 준다. board_type는 notice라고주고 board_id는 파일이 업로드 진행된 게시판 번호, file_num은 시퀀스로 증가하는 파일 번호, file_name은 원본파일명 saved_file_name은 temp파일명 file_size는 파일의 크기이다. 우리가 파일 업로드를 하기 위해서 구해야 하는것은 이렇게 총 3가지가 있다. 파일을 올리면 웹서버에 저장이 되게 되는데 저장에 문제가 없다면 notice_info에 등록 등록한 sepuence 조회 board_attach등록 웹 서버에 파일 저장하기 첨부파일 나오게 하기 위해서는 input타입을 file로 해야한다. file 이라는 이름으로 controller로 전달 그리고 for..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4. 24.
  • 비동기통신과 동기통신 동기(Sync) 동기식 전송은 한 문자 단위가 아닌 미리 정해진 수 만큼의 문자열을 한 묶음으로 만들어서 일시에 전송하는 방법. 해당 방법에서 데이터와는 별도로 송신 측과 수신 측이 하나의 기준 클럭으로 동기신호를 맞춰 동작함 수신측에서는 클럭에 의해 비트를 구별하게 되므로, 동기식 전송을 위해서 데이터와 클럭을 위한 2회선이 필요. 송신측에서 2진 데이터들을 정상적인 속도로 내보내면 수신측에서는 클럭의 한사이클 간격으로 데이터를 인식 동기식 전송은 비동기식에 비해 전송효율이 높음 수식측에서 비트를 계산해야 하고 문자를 조립하는 별도의 기억장치가 필요해 비동기보다 가격이 높음 송신측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식측에서 정확히 수신하기 위해 보내는 측과 받는 측의 각 비트가 동일한 타이밍이 취해져야 하는데, 이..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4. 24.
  • Ajax와 xmlhttprequest Ajax 의 사전적 의미 Ajax = Asynchromous Java And Xml 비동기식 자바스크립트와 xml 이라는 뜻이다. Ajax 란 Ajax 는 프로그램 언어는 아니다. JavaScript 의 라이브러리 중 하나이며, 브라우저가 가지고 있는 XMLHttpRequest 객체를 이용하여 페이지를 새로고침 하지 않고, 페이지의 일부만을 위한 데이터를 로드하는 기법이다. JavaScript 를 사용한 비동기적 정보 교환 기법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에 Xml 등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술이다. 이름에 XML 이 들어가지만, 데이터를 일반 텍스트 또는 JSON 으로 전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Ajax 는 : 브라우저에 내장된 XMLHttpRequest 객체를 사용하여 웹서버에서 데이터를 요청하고, Java..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4. 24.
  • 페이징처리 페이징 처리 원칙 페이징 처리는 다른사람에게 URL로 전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GET방식만을 이용해야 한다. 게시글 목록 페이지의 하단에 페이지들의 번호를 보여주고 원하는 번호를 선택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해서 목록을 보여주어야 한다. 페이징은 반드시 필요한 페이지 번호만 출력해야한다. 만약 페이지당 10개의 게시글을 출력하는데 전체 게시글의 수가 42개라면 페이지의 번호는 5페이지까지여야 한다. 이전과 다음 버튼이 존재해야함. 게시글이 1000개인데 1페이지당 10개의 게시글을 볼 수 있게 했다면 페이징 버튼은 100개가 필요하다. 그런데 이전과 다음 버튼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100개의 버튼을 한번에 보여줘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하단 페이지에 보여줄 버튼의 개수를 정하고 더 많은 데이터가 있다면..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4. 24.
  • HttpServletRequest과 HttpServletResponse HttpServletRequest? JSP 기본 내장 객체 중 request 객체는 JSP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객체입니다. 웹브라우저 사용자인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버로 요청이 들어오면 서버에서는 HttpServletRequest를 생성하며, 요청정보에 있는 패스로 매핑된 서블릿에게 전달합니다. 이렇게 전달받은 내용들을 파라미터로 Get과 Post 형식으로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게 됩니다. 언제 이용하는가? 하나의 요청에서 HttpServletRequest 객체가 소멸하기 까지 상태정보를 유지하고자 할 때, 한번의 요청으로 실행된 페이지끼리 정보를 공유하고자 할 때 사용되며, 디스패처에 의한 요청재지정을 하기 전 HttpServletRequest 객체의 setAttribute( ) 메소드로 데이터를 등록하..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4. 24.
  • JSTL과 EL에 대해서 JSTL 커스텀 태그를 사용하는 목적은 자주 사용하는 기능들을 한 번만 구현한 다음, 재사용하기 위해서이다. 가독성이 높은 장점이 있는 커스텀 태그지만, 개발자가 직접 만들려면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든다. 이때 사용하는 것이 JSTL인데, 이것을 사용하면 직접 커스텀 태그를 만들지 않아도 커스텀 태그를 사용 할 수 있다. JSTL은 java Server Pages Standard Tag Library의 약자로 jsp에서 사용하는 태그 라이브러리를 공통으로 사용하기 위해 정해진 표준이다. JSTL은 공통으로 사용되는 기능들을 미리 구현해 놓은 커스텀 태그들이다. 따라서 JSTL로 구현된 기능은 별도로 커스텀 태그를 만들어서 사용할 필요 없이 JSTL을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JSTL의 장점 빠른 개발 -> ..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4. 24.
  • Spring의 3-tier 3 Tier 란 사용자 인터페이스, 비즈니스 로직, 데이터베이스를 말하며, 이들을 각각 독립된 모듈로 개발하고 유지하는 구조로, 일반적으로 이들은 각각 다른 플랫폼 상에서 구동된다. "3tier Architecture” 라고 명명한 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인 3 tier는 아키텍처적인 관점으로 봐라봐야 한다. Presentation Tier(화면 계층) 화면에 보여주는 기술을 사용하는 영역 컨트롤러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맞는 응답처리를 진행하며, HTML엔진(thymeleaf), HTML등이 담당하는 영역이다. Spring MVC 객체를 말한다. 프로젝트의 성격에 맞춰 앱으로 제작하거나, 클라이언트-서버로 구성되는 경우가 있다. 스프링 MVC와 JSP 등을 이용한 화면 구성이 이에 속한다. 프론트 컨트롤러(..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4. 24.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